희소성

한정된 자원에 비해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기 때문에 희소성 발생

절대적인 자원의 양보다, 인간의 수요 대비 상대적인 자원의 양에 따라 희소성이 결정된다.

 

경제재 희소성이 있어 가치가 있음

자유재 희소성이 없어 가치가 없음

 

기본적인 경제문제

자원의 희소성 때문에 발생

1.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

2.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3. 누구에게 분배할 것인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해야할 것 

 

기회비용

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기회가 갖는 가치

경제적 비용이라고도 함.

기회비용 = 명시적비용 + 암묵적 비용

 

매몰비용

이미 발생하여 회수가 불가능한 비용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선택에 고려대상이 아니다.



수요(Demand)

일정기간 동안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

요인 ()

변화

결과

가격

상승

-> 수요량 감소

 

하락

-> 수요량 증가

보완재 가격

상승

-> 수요 감소 (수요곡선 좌측이동)

 

하락

-> 수요 증가 (수요곡선 우측이동)

 

요인 ()

변화

결과

대체제 가격

상승

-> 수요 증가 (수요곡선 우측이동)

 

하락

-> 수요 감소 (수요곡선 좌측이동)

소득

상승

-> 수요 증가 (수요곡선 우측이동)

 

하락

-> 수요 감소 (수요곡선 좌측이동)

미래 가격예상

상승

-> 현재 수요 증가 (수요곡선 우측이동)

 

하락

-> 현재 수요 감소 (수요곡선 좌측이동)

기호, 선호

증가

-> 수요 증가 (수요곡선 우측이동)

 

감소

-> 수요 감소 (수요곡선 좌측이동)

인구

증가

-> 수요 증가 (수요곡선 우측이동)

 

감소

-> 수요 감소 (수요곡선 좌측이동)



공급(Supply)

일정기간동안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 생산하고자 하는 욕구

 

요인 ()

변화

결과

가격

상승

-> 공급량 증가

 

하락

-> 공급량 감소

생산보완재 가격

상승

-> 보완재화 공급 증가 -> 현재 재화 공급 증가(공급곡선 우측이동)

 

하락

-> 보완재화 공급 감소 -> 현재 재화 공급 감소(공급곡선 좌측이동)

요인 ()

변화

결과

생산대체재 가격

상승

-> 대체재화 공급 증가 -> 현재 재화 공급 감소(공급곡선 좌측이동)

 

하락

-> 대체재화 공급 감소 -> 현재 재화 공급 증가(공급곡선 우측이동)

미래 가격예상

상승

-> 현재 공급 감소

 

하락

-> 현재 공급 증가

 


시장 균형의 효율성

시장에 의한 자원배분은 재화에 가장 가치를 높게 매기는 소비자순으로 자원을배분한다.

시장에 의한 자원배분은 재화를 가장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순으로 생산한다.

 


 

 

 

 

 


적률 (moment)

확률변수 X의 n승의 기댓값


상수 c에 대한 확률변수 X의 n차 적률은 의 기댓값 으로 정의한다.

c= 0 이면 원적률, c = E(X) 이면 중심적률이라고 하며 원적률을 간단히 적률이라고 한다.

두 확률변수의 모든 적률이 일치하면 두 확률변수는 같은 분포를 갖는다. (확률변수의 특징설명한다.)


는 r차 원적률을 의미한다.

는 n차 중심적률을 의미한다.


1차 원적률은 평균

2차 중심적률은 분산

3차 중심적률은 왜도

4차 중심적률은 첨도


원점에 대한 r차 적률 수식

(이산확률변수인 경우)  =  =   

(연속확률변수인 경우)  =  =  


평균 에 대한 r차 중심적률

ex) 평균 에 대한 2차 중심적률

 = 분산


률 생성 함수 (moment generating function)

ex)


(이산 확률 변수)   

(연속 확률 변수) =


적률 생성 함수로 k차 적률구하기

Mx(t) 적률 생성 함수를 t에 대해서 k번 미분한 후, t에 0을 대입한 값은 

확률변수 X의 원점에 대한 k차 적률과 같다.


ex) 1차미분

2,3,...,r차 미분을 하면 결국 r차 적률과 같다.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백과



[집합 자료열 특징]

set은 집합을 의미, 중복되지 않는 여러 값을 모아 놓음.

저장순서와 상관 없이 저장됨

중괄호로 표현

[기본 사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2,3,1,2,3,1,2,25}
print(a)                # 중복값 제거됨
print(len(a))           #중복값 제외한 길이
print(set("안녕하세요")) # 순서 상관 없이 저장
 
<결과값>
{12325}
4
{'녕''세''안''하''요'}
 
 
a.add("김")                #값 추가
print(a)
 
<결과값>
{12325'김'}
 
a.remove(1)                #중복 포함 모든 1이 제거됨
print(a)
 
<결과값>
{2325'김'}
 
= {"김",1,"이","박","최"}
a.update(b)                 # a와 b 집합 합집합
print(a)   
 
<결과값>
{123'박''최''이'25'김'}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연산자
# 합집합 = |
# 교집합 = &
# 차집합 = -
# 대칭 차집합 = ^ (교집합들을 제외한 값)
 
= {1,2,3,4,5,6}
= {3,4,5,6,7,8}
 
print(A|B) #합집합
print(A&B) #교집합
print(A-B) # 차집합
print(B-A) # 차집합
print(A^B) # 대칭차집합
 
<결과값>
{12345678}
{3456}
{12}
{87}
{1278}
 ​
c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