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

일정기간 동안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나타낸다.

3면등가의 법칙 = 생산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생산국민소득

일정기간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

각 생산단계에서의 부가가치의 합


분배국민소득

임금 ,이자 ,지대 ,이윤 등등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만들어 내는데 들어간 모든 가치의 합


지출국민소득

Y = C + I + G +NX

 

명목 GDP

해당 연도의 시장가격으로 계산한 국내 총생산

 

실질 GDP

기준 연도의 시장가격으로 계산한 국내 총생산

생산량의 변동만 알 수 있다.

 

실제GDP

한 나라안에서 실제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잠재GDP

한 나라에 존재하는 노동과 자본등의 모든 생산요소를 정상적으로 고용할 경우 달성 가능한 최대의 GDP


GDP갭

실제GDP와 잠재GDP의 차이

GDP갭 = 실제GDP - 잠재GDP

GDP갭>0 -> 실제GDP가 더 높음, 비정상적으로 과열상태 -> 총수요 억제필요

GDP갭<0 -> 실제GDP가 더 낮음, 실업존재 -> 총수요 확대 필요



GDP를 활용한 경제지표


GDP디플레이터

명목GDP/실질GDP * 100

기준년도 대비 현재의 물가수준 측정 가능

 

경제성장률

경제활동 부분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측정

금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100 



GDP의 한계


한계

설명

계산상의 한계

통계적으로 확인되지 못한 것은 계산에서 제외

복지수준 반영 불가

삶의 질이나 복지수준 반영X

소득 분배 상황 파악 불가

GDP는 총량의 개념 -> 소득분배, 빈부격차에 대한 정보X

여가 생활 파악 한계

국민의 후생수준, 여가수준에 대한 반영X

신속한 예측 어려움

당해 연도 또는 분기가 끝난 후 보통 2개월 이상이 경과한 후에 추계가 가능 -> 현재의 경기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미래경기흐름 신속히 예측 어려움

 


GDP 보완 지표 


HDI(Human Development Index) = 인간개발지수

인간의 삶과 관련된 지표를 조사해서 각국의 인간 발전 정도와 선진화 정도 평가한 수치

실질국민소득, 교육수준, 문맹률, 평균수명 등 조사

 

ESI(Environment Sustainability Index) = 환경지속성지수

환경,사회,경제조건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국가역량을 평가한 지수

환경파괴를 유발하지 않고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능력을 지표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과학기술력, 민주화수준, 국민소득, 보건상태, 국제적 공헌도 등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

 

World Values Survey = 세계가치조사

후생수준에 대해 주관적인 평가를 지수화 함.



GNI(Gross National Income) = 국민총소득

국민들이 생산활동을 통해 획득한 소득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국민의 총소득을 나타낼 수 있다. -> GNP 대체함

 

명목 GNI

명목GDP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국외순수취요소소득 = 국외수취요소소득 - 국외지급요소소득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

 

실질 GNI

실제 재화나 용역에 대한 실제 구매력 측정

실질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 +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

실질GDI +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 환율이나 수출입 단가가 바뀌면서 생긴 무역손실이나 이익

ex)수출가격은 오르고, 수입가격이 떨어지는 등, 교역조건이 좋아지면 동일한 수출량으로 더 많은 수입을 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실질GDI(Gross Domestic Income)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냄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지역내총생산

일정기간동안 일정 지역 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상물가치의 합

시도별 GDP라고 할 수 있다.

지역경제 상호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