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종류
1주는 자본금을 산출하는 기초단위로서 발행주식의 액면총액은 자본금이 된다.
보통주
표준이 되는 보통의 주식
blue chip 주 - 대형 우량주
yellow chip 주 - 중저가 우량주, blue chip 보다 한 단계 낮음
turnaround chip 주 - 영업실적저조기업이 실적 상승전환한 주
우선주
이익의 배당이나 청산시 잔여재산 분배에서 우선적 지위
의결권, 신주인수권 없음
배당 우선 권리가 실현되지 않으면 의결권 부활
성장성이 없기 때문에 보통주에 비해 가격이 저렴
참가적, 비참가적, 누적적, 비누적적으로 구분
구형우선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없는 무기한우선주, 비누적형이다.
신형우선주
1995년 12월 개정된 상법의 적용을 받아 1996년 12월 1일부터 발행된 모든 우선주
우선주 발행시 최저 배당률을 정관에 고시하도록 함
이 경우 마치 채권(Bond)와 같다는 뜻에서 우선주 종목 뒤에 "B"를 붙인다.
대부분 몇년이 지난뒤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한부우선주, 누적형이다.
ex ) 농심2우B는 신형우선주로서 두 번재 발행한 우선주로 전환이 가능함.
의결권주, 무의결권주
의결권 여부에 따라 나뉨
액면주
주권에 액면가액(par value)이 기재되어 있는 주식
일반적으로 KOSPI 5000원, KOSDAQ 500원 액면주가 많다.
무액면주
액면이 없는 주식(no par value stock)
우리나라는 무액면주제도를 2012년부터 시행했으나 보편화 되어있지 않음
무액면주의 경우 배당률을 구할 수 없기 때문에, 배당성향이 투자 결정시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액면분할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 1주를 액면가 500원짜리 주식 10주로 나눌 수 있다.
액면병합
액면가 500원짜리 주식 10주를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 1주로 병합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주주에게 형식적으로 재산가치의 변동이 없다.
기명주
주권과 주주명부에 주주이름이 기재됨.
우리나라 상법은 이것을 원칙으로 한다.
주주를 확인하여 통지하는데 명확하다는 장점
무기명주
주주의 이름이 기재되지 않는 주식.
정관의 정함이 있는 경우에만 발행 가능
매매거래가 신속하고 거래의 기밀 유지 장점
전환주식
우선주에서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
전환권 행사는 주주가 결정
상환주식
이익을 가지고 소각할 수 있는 주식
우리나라 상법은 배당우선주에 한해 이를 인정
일시적인 자금조달수단으로 발행 후 일정한 요건 아래에서 회사이익으로 소각, 상환된다.
자사주
기업이 자기가 발행한 주식을 매입, 보유하는 경우를 말한다.
회사 금고에 보관되어 있다고 하여 금고주(treasury stock) 또는 사내주라고도 한다.
자사주 매입이유
1. 경영권 방어 - 주식보유비율 높이기 위해
2. 낮은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함
3. 기존주주의 세금절감 효과
회사가 직접 사들이거나, 금융기관에 신탁하여 자사주 펀드를 만들어 펀드가 주식을 사들이는 방법이 있다.
채권의 종류
발행주체에 따라 회사채와 국공채로 나뉜다.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로 나뉜다.
1. 회사채(사채)
기업의 장기적 타인 자본조달수단이다.
유가증권발행에 의한 직접금융수단이다.
회사채의 종류
일반사채(무보증,무담보사채 : debenture, unsecured bond)
보증이나 담보없이 발행회사의 신용에 의해 발행하는 회사채
가장 전형적인 형태의 보통사채이다.
재무구조가 건전한 우량기업만 발행할 수 있다.
일반사채는 외부의 신용평가회사로부터 AAA ~ D까지 등급평가를 받는다.
AAA~BBB - 투자가능
BB 이하는 - 투기등급(정크본드)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채권발행 후 일정기간이 지난 다음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
발행요건이 엄격하여 아무 기업이나 발행할 수 없다.
발행회사는 일반사채보다 낮은 자본비용, 보통주 전환시에는 부채를 줄이고 자기자본을 늘려 자본구조 개선 할 수 있어 매력적이다.
투자자는 주가 상승시 매매차액 실현 가능하여 매력적이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 Bond with Warrant)
채권발행 후 일정기간내에 일정수 또는 일정액의 보통주, 우선주 신주를 발행가격으로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
신주인수권을 사용해도 채권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
신주인수권에 대해 분리형, 비분리형으로 나뉜다.
옵션부사채(option bond)
콜옵션부사채, 풋옵션부사채로 나뉜다.
콜옵션부사채는 발행회사가 사채를 강제로 매입하여 상환시킬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풋옵션부사채는 투자자가 발행회사에게 강제로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2. 국채(government bond)
국가가 발행한 채권
무위험채권금리로서 채권시장 금리체계의 기준이 된다.
3개월 만기 단기 재무성증권(Treasury Bill : T-bill)은 세계 채권시장 금리의 기준이 된다.
국고채권, 외국환평형기금채권, 국민주택채권이 대표적이다.
대부분 할인채이다.
BEY(bond equivalent yield) 채권등가수익률
액면가 = 100,000 , 할인가 = 95,000, 만기 180일
은행할인율(bank discount yield) 와 비교
지방채(municipal bond)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채권
이표채,할인채 복리채 모두 발행
지방도시철도채권, 지역개발공채, 지하철공채, 상수도공채, 도로공채 등이 있다.
특수채
특별법에 의하여 설치된 공공기관에서 발행되고 정부의 보증과 규제를 받는 채권
공기업채권 - 국가가 원리금 지급을 보증, 전력채권, 지하철공사채권, 토지개발채, 기술개발 금융채 등등
금융채 - 국가가 원리금 지급을 보증,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중소기업금융채권, 외국환금융채권 등
RP (Repurchase agreement) = Repo 거래
환매조건부 채권매매라고도 한다.
미래의 일정시점에 채권을 환매할 것을 약정하고 현시점에서 매매계약을 체결한다.
참여자에 따라 대고객 Repo, 기관간 Repo 등으로 나뉜다.
대고객 Repo
채권을 담보로한 저축 성격
기관간 Repo
한국은행이 Repo를 통해 시중 자금의 유동성 조절을 위한 통화관리 수단으로 사용.
은행이나 증권사의 단기 금융상품으로 이용
외국 금융기관에서 RP를 판매함으로써 채권을 담보로 대출하는 용도로 사용
펀드
신탁(trust)
신탁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의뢰하여 관리하고 처분하도록 하는 법률관계
금전신탁, 부동산신탁, 유가증권신탁등으로 분류
투자신탁의 기능
1. 일반 대중의 소액자금을 동원하여 기업, 금융기관, 국가 등에 자금조달을 용이하게함
2. 개인의 간접투자 대상
3. 기관투자자로서 분산투자를 통해 자본시장에서 가격 및 물량 조정 기능
4. 투자수익 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배구조에 중요한 역할
투자신탁의 형태
투자대상 증권에 의한 분류
채권형
국공채와 회사채에만 투자 운용하는 투자신탁 형태
대부분 기금의 추가설정이 가능한 기금형, 중도환매가 가능한 개방형
주식형
일부는 공사채에 투자, 나머지를 주식에 투자 운용하는 형태
대부분 기금형, 개방형
주식편입 비율 70 ~ 99 % 성장형, 41~69% 안정성장형, 40%이하 안정형으로 분류
운용형태에 따라 가치주형, 성장주형, 배당주형, 밸런스형, 특별형으로 분류
혼합형
주식과 채권 어느 한쪽에 60%이상 치우치지 않도록한 형태
MMF형
단기채권, 단기국채, CD, CP, call loan, RP, 만기 1년 이하의 회사채에 투자하는 초단기 투자신탁상품
은행정기예금보다 이자가 높고, 수시 입출금이 가능, 언제든지 가입 및 환매가 가능
조직형태에 의한 분류
계약형
수익자(투자),위탁회사(운용),수탁회사(보관, 관리)의 세 당사자의 계약으로 성립된 형태
수익증권을 거래한다.
회사형
증권투자신탁을 영업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 설립, 투자자가 그 주식을 취득하는 형태.
뮤추얼펀드(mutual fund)라고도 불린다.
추가설정에여부에 의한 분류
기금형
추가형, 관리형이라고도 부름
증자나 자금 추가 가능
언제라도 환매 가능
단위형
환매여부에 의한 분류
폐쇄형
주식을 처분함으로써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형태
환매 불가능
단위형 수익증권에만 폐쇄형을 인정
개방형
언제든지 투자신탁회사에 대해 환매를 요청 가능
펀드 매입 방법에 의한 분류
거치식
거액의 자금을 일시에 넣어 펀드를 매입
짧은 기간내에 공격적
적립식
매월 일정한 금액을 적립하여 펀드를 매입
기간적으로 분산투자하는 효과
월지급식
거액의 자금을 펀드매입에 투자한 후 일정기간 매월 약정된 금액을 지급받는 형태
일정 수입을 매월 확보하면서 추가수익률 상승 기대
뮤추얼 펀드(mutual fund)
명목상의 증권투자회사(paper company)를 설립하고 일반인에게 주식을 발행하여 돈을모아 증권투자를 하여 그 수익을 배분하는 투자신탁의 한 형태
명목회사이므로 다른 업무를 영업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자산의 운용,보관,등의 업무를 외부에 위탁하여야 한다.
증권투자회사(명목), 자산 운용회사(실질), 판매회사, 수탁회사, 일반사무관리회사, 투자자로 구성되어있다.
자산운용회사- 실질적으로 증권투자를 하는 회사
판매회사 - 주식의 모집, 판매, 환매 관련 업무담당, 투자자들이 펀드 가입을 위해서 판매회사를 방문해야 한다, 보통 증권회사, 은행, 보험회사가 업무를 수행한다.
수탁회사 - 투자자들이 펀드에 맡긴 돈을 실제로 보관하는 곳, 주로 은행들이 역할을 한다.
일반사무관리회사 - 펀드의 기준가격산정, 펀드자산가치 산정, 기타사무 담당, 자산운용사 내부조직이 운용
뮤추얼 펀드의 종류
환매 가능여부
자금조달방식
공모펀드 -한국 거래소 상장, 특정종목주식에 신탁재산의 10%이상 편입 불가
사모펀드 - 소수의 투자자, 특정 종목에 집중투자(신탁재산의 50% 이상 편입가능)
투자대상
주식형 - 60% 이상 주식,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으로 나뉜다.
혼합주식형 - 50% 이상 주식
혼합채권형 - 50% 미만 주식
채권형 - 60% 이상 채권 , 주식 없음 , 고수익률 정크본드 (high yield junk bond)에 투자한 펀드는
High-yield Bond라는 명칭을 갖는다.
MMF형 - 단기금융시장의 짧은 만기의 금융상품에 투자
로드펀드(load fund)
노우로드펀드(no load fund)
로드가 붙지 않은 개방형 뮤추얼 펀드, 판매수수료가 붙지 않는 것으로 순자산가치로 거래된다.
로드(load)
판매에 관여하는 브로커(증권회사)나 보험회사에 지급하는 커미션
뮤추얼펀드 수수료
class A - 수수료 선취
class B - 수수료 후취
class E - 인터넷판매 펀드 수수료
뮤추얼펀드의 가격결정
NAV(Net Asset Value : 순자산가치) = 총자산가치 - 비용
주당 순자산가치 = NAV / 주식수
뮤추얼펀드의 주가는 NAV보다 낮게 형성될 수 밖에없다.
왜냐하면 보유기간에 따른 기회비용과 매매비용등을 공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는 공시된 운용수익률을 참고하여 매매의사결정
ETF(exchange traded fund)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하는 것
인덱스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모두 갖춘 뮤추얼 펀드
대주 및 공매가 가능하다.
펀드 수수료가 저렴하다.
KODEX(삼성자산운용), KOSEF(키움자산운용), KINDEX(한국투자신탁운용), TIGER(미래에셋자산운용)
, KBSTAR(국민투자운용)
PEF(Private Equtiy Fund)
소수의 거액투자자로 자금조달(사모)하여 부동산, 부실채권, 기업경영권등 인수하여 일정기간 자산가치를 높인 후 되팔아 높은 수익 추구 하는 펀드
사모 주식투자펀드, 사모투자전문회사로 불린다.
우리나라의 각종펀드
스팟(spot) 펀드
목표수익률이 달성되면 만기 1년 전에 조기상환
전환형 펀드
주식형 펀드로 운영하다가 목표 수익률 달성시 공사채형 펀드로 전환
카멜레온 펀드
1년에 여러번 주식형과 공사채형 펀드 사이를 전환
인덱스 펀드
시장지수를 복제하는 펀드
소극적 포트폴리오 구성방법
현실적으로 구성 종목과 비중에 의해 투자성과가 다르다.
수수료 저렴
레버리지 펀드
90%는 안전한 채권, 10%는 선물이나 옵션 등 고수익 고위험 파생상품에 투자
벌쳐(vulture) 펀드
구조조정 대상기업 주식, 채권 저렴하게 매입하여, 기업을 정상화 시킨 후 매각
벤처(venture) 펀드
벤처기업에 자금지원, 지분참여 펀드
코스닥전용 펀드
원금보존형 펀드
최소한 원금 보장, 확정소득증권에 70%, 주식에 30%이하 투자
차익거래 펀드
50% 채권 투자, 50% 현금성 자산 운용하다가 차익거래기회 발생시 프로그램 매매
시스템 펀드
미리 운용되는 시스템을 결정해 놓고 그에 맞춰 기계적으로 매매
주가가 오르면 분할매도, 주가가 내리면 분할 매수하는 전략
펀드 오브 펀드 (fund of fund) = 재간접펀드
펀드 투자자금을 다시 다양한 펀드에 재투자
1차운용사, 2차운용사 모두에게 수수료 지급해야 하는 부담
엄브렐러 펀드(umbrella fund)
모펀드 아래 자펀드를 거느리고 있는 펀드, 그 모양이 우산 같다 붙여진 이름
자펀드는 환매 수수료 없이 전환 가능
배당주 펀드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에 집중투자
배당수익률이상 주가가 상승하면 주식 매도, 주가가 오르지 않으면 배당금 획득
리버스(reverse) 펀드
주가가 하락할 때만 이익을 보는 구조로 특화
선물 매도 포지션으로 자산 구성
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t ; 사회 책임펀드)
윤리, 사회문제, 환경등 비재무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경영활동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헤지(hedge)펀드
소수의 고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다양한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투자대상을 가리지 않고 투자하여 절대수익을 추구한다.
섹터(sector)펀드
비빔밥펀드, 백반형펀드
증권업계에서 통용되는 명칭
주식투자비율30% 안팎, 나머지 채권에 투자하면 비빔밥
주식이면 주식, 채권이면 채권에만 투자하는 펀드는 백반형 이라고 한다.
펀드랩(fund wrap)
랩매니저라 불리는 증권사의 전문가와 상의하여 수익성이 어느정도 검증된 펀드에 분산투자하는펀드
투자자는 랩어카운트인 자신의 계좌를 실시간 확인 가능
실물펀드
부동산, 선박, 미술품, 아트, 광물자원, 농산물 등에 투자하는 펀드
인플레이션 헷지기능
변동성이 낮으며 주로 사모 발행
리츠(REITs)
부동산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뮤추얼 펀드
리츠회사 주식이 증권시장에 상장되면 개인투자자들도 리츠투자에 참여가능
기업구조리츠, 위탁관리리츠, 자기관리리츠가 있다.
기업구조리츠 - 기업들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내놓은 부동산 매입하여 되팔아 수익
위탁관리리츠 - 오피스텔, 임대부동산 매입하여 일정한 임대수익
자기관리리츠 - 직접 주택, 오피스텔을 지어서 개발사업 진행
선박펀드
선박의 건조와 매입에 투자자금을 대출, 지분매입하여 이자수입이나 배당을 받는다.
5~10년 기간으로 투자기간이 길다
출처 : 투자론 8판 - 김건우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