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시장지표(market indicators)
증권시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
크게 주식시장지표와 채권시장지표가 있다.
대표적 주식시장지표로 주가지수, 주식거래량, PER 등등이 있다.
대표적 채권시장지표로 KRX가 개발한 채권지수가 있다.
1. 주가지수(stock price index)
가치가중지수, 가격가중지수, 동일가중지수로 나뉜다.
가치가중지수(market value-weighted index) 시가총액식 지수
KOSPI, KOSDAQ, S&P500, NYSE 증시 종합지수
가격가중지수(price-weighted index)
지수계산에 포함되는 종목의 가격합을 총 종목수로 나눈 지수이다.
다우존스산업평균, 니케이225
동일가중지수(equally weighted index)
개별주식의 주가변화율을 단순히 산술평균하여 계산
가치가중지수 = 115 , 15%
가격가중지수 = 113.33, 13.33%
동일가중지수 = 120, 20%
KOSPI(KOrea Stock Price Index)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한 상대적 가치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이다.
모든 종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포트폴리오의 기능을 갖는다.
시가총액이 큰 주식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보조적인 지수로 업종별 지수가 있다.
현행 19개의 업종별 지수는 앞으로 10개의 섹터(분야)별 지수로 바뀔 예정이다.
KOSPI200
선물, 옵션의 기초자산으로 활용된다.
200종목만으로 주식시장의 변동을 나타낸다.
시장대표성, 업종대표성, 유동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200종목을 선택한다.
비유동주식을 제외한 유동주식수만을 반영한 시가총액을 사용한다.
1990년 1월 3일을 기준으로 기준지수는 100이다.
KOSDAQ
시가총액방식에 의해 산출된다.
기준시점은 1997년 10월 1일이고 기준지수는 1000이다.
KRX100 통합주가지수
유가증권시장 종목과 코스닥 시장 종목에서 가장 대표적인 종목 100개로 구성되어있다.
기준지수는 2001년 1월 2일이고 기준지수는 1000이다.
KTOP30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30개의 우량주(blue chip)종목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이다.
가격가중방식으로 산출된다.
다우존스산업평균(DJIA: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대표적인 가격가중지수이다.
S&P500 지수
Standard&Poors가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종목 500개를 선정해 발표하는 시가총액지수이다.
공업주 400, 운수주 20, 공공주 40, 금융주 40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모건 스탠리 지수로 전세계를 대상으로 글로벌 주식지수이다.
FTSE(Financial Times)
영국에서 발행되는 Financial Times사의 글로벌 주식지수이다.
Nikkei225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25개 종목을 선택하여 발표하는 주가지수이다.
2. 주식거래량과 거래대금
주가지수와 함께 주식시장의 장세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주식거래량 - 주식유통시장에서 매매된 주식의 수량
주식 거래대금 - 주식 거래량을 금액으로 표시한 것
상장주식 회전율(turnover ratio), 시가총액 회전율
단위 거래량이나 단위 거래대금이 일정기간 몇 번(회) 회전되었는지 나타내는 상대적인 지표
3. 기타 주식시장 지표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이익승수(earning multiple)로 불린다.
PER = 주가/주당순이익(EPS)
EPS = 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
국가간의 주식시장을 PER로 비교하면 단위당 기업의 이익력에 비해 저평가 또는 고평가를 측정할 수 있다.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
= 배당금/당기순이익 * 100
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부분을 백분율로 표시
배당성향이 높을 수록 사내유보율이 낮고, 심하면 재무구조 악화요인
배당률(dividend rate)
= 1주당 배당금 / 액면가 * 100
액면가에서 차지하는 1주당 배당금의 비중으로 액면 배당률이라고도 한다.
기업들은 대개 배당률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 1주당 배당금 / 시가 * 100
1주당 배당금을 시가로 나눈비율, 시가 배당률이라고도 한다.
배당에는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이 있는데, 국제 표준 배당수익률 산출시 현금 배당만을 사용한다.
우리나라도 현금배당만을 기준으로 주식배당수익률을 산출하여 발표한다.
4. 채권지수
채권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채권투자성과 평가의 벤치마크(benchmark)로서 유용하다.
인덱스펀드 투자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현재 한국 금융투자협회에서 BMSI, HHI, MCRI 채권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BMSI(Bond Market Survey Index)
160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서베이에 의해 채권시장 동향을 측정
HHI(Herfindahl Hirshman Index)
허핀달-허쉬만 지수를 채권시장에 적용시킨 것
채권발행 및 유통물량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초점을 맞춤
MCRI(Market Credit Risk Index)
신용등급별, 산업별, 신용위험을 지수로 보여줌
HHI(Herfindahl-Hirschman Index) 허핀달-허쉬만 지수
한 시장의 집중도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
해당 산업 혹은 분석이 되는 영역에 속해 있는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의 제곱의 합으로 계산되며 수치가 높을수록 시장 집중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낮을수록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산업 내에 3개의 기업이 있고 각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30%, 30%, 40% 일 때 지수의 값은 3,400 (=30^2+30^2+40^2)이 된다.
10%, 10%, 80% 일 때는 지수의 값이 6,600(=10^2+10^2+80^2)이 되며, 한 기업의 시장 집중도가 높을수록 지수의 값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산업 내에서 계산된 수치가 100 이하이면 경쟁이 심한 산업, 100 초과 1,500 이하면 덜 집중화된 산업, 1,500 초과 2,500 이하면 조금 집중화된 산업, 2,500 초과일 경우에는 매우 집중화된 산업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기업결합심사를 할 때 이용된다.
투자수익률
수익률(rate of return)
최초 투자금액(initial amount)에 대해 일정기간의 성과를 나타낸 지표
계산방법에 따라 수익률에 큰 차이를 보인다.
연간수익률 (APR : Annual Percentage Return)
연 기준의 수익률, 흔히 시중에서 얘기되는 금리
복리를 고려하지 않는다.
ex ) 분기별 수익률이 2%인 경우
APR = 2% * 4 = 8% (연)
연간유효수익률(EAR : Effective Annual Return)
복리를 고려한다.
ex ) 분기별 수익률이 2%인 경우
EAR = (1.02)^4 -1 = 8.243% (연)
예제) APR 기준 12% 는 EAR기준 몇 % 인가? (월단위 복리 계산)
보유기간수익률(HPR : Holding Period Return)
투자 원금 대비 증권보유기간 동안 획득한 수익률, 대개 1년기준
주식 : 자본이득률 + 배당수익률
채권 : 자본이득률 + 경상수익률
역사적 수익률
과거의 일정기간 동안 증권을 보유했을 때의 보유기간 수익률
역사적 수익율의 평균은 그 기간을 대표하는 대표값의 의미를 지닌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사용
표준편차는 일반적으로 총위험의 크기를 의미한다.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
미래에 기대되는 수익률이다.
가치가중수익률(VWRR , DWRR : Value(Dollar) Weighted Rate of Return)
두 기간 이상의 복수기간인 경우 사용하는 수익률 계산
투자기간 동안 추가적인 투자를 하는 경우 수익률 계산에 사용됨
할인현금흐름(DCF)기법을 이용, 이렇게 계산된 수익률은 내부수익률(IRR)이다.
가치가중수익률은 내부수익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개인투자자에게 적용되는 수익률이다.
투자기간동안 현금유출금액과 현금유입금액을 현재가치로 하였을 때 둘을 같게 만드는 수익률을 찾는 방식이다.
시간가중수익률(TWRR : Time Weighted Rate of Return)
각 기간의 투자금액을 고려하지 않는다.
오직 각 기간별 보유기간수익률을 구하여 계산한 기간평균수익률이다.
일반적으로 기금관리업계(펀드매니저)에서 많이 사용한다.
산술평균수익률 (arithmatic return)
기간 수익률(HPR)의 합을 기간 수로 나눈 것
기하평균수익률(geometric return)
각 기간의 복리를 고려하여 계산한 수익률
항상 산술평균수익률보다 작다.
출처 : 투자론 8판 - 김건우저